2021.02.05. | 『한글 새소식』 제582호 표지를 약영 김 양수 선생 50주기를 기리어 약영 선생의 초상화로 꾸밈. |
---|---|
02.25. | 짚신문학회(회장: 오 동춘)가 오후 3시부터 세종대왕기념관 강당에서 연 『짚신문학』 제22호 출판 기념 모임과 “제20회 짚신문학상” 시상식을 후원함. |
03.15. |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문화재청이 마련하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연 국가등록문화재 20주년 특별전 “등록문화재, 광화문에서 보다”(4. 16.∼7. 18.)에 『조선말 큰사전』 원고(보물 제2086호) 2권(원본은 4월 15일까지 전시하고 복제본으로 대체함), 『국어문법』 육필 원고 1권을 빌려 줌. |
03.23. | 외솔 최 현배 선생 51주기를 맞이하여 외솔회(회장: 성 낙수)가 오전 9시 30분, 서울 장충단공원 ‘외솔 최 현배 선생 기념비’ 앞에서 연 추모 모임에 참석함. |
03.26. | 외솔회가 오후 4시, 세종대왕기념관 강당에서 연 정기총회에 참여함. 이날 새 회장으로 이 창덕(경인교대 교수) 님이 뽑힘. |
03.27. | 오후 2시부터 한글회관 403호에서 이 근영 총무이사의 사회로 권 재일 회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2021년도 정기 평의원회를 열어 새해 사업 계획과 예산안을 심의함. 이날 평의원회에서는 이사회의 추천을 받은 네 분 원로 회원(김종택 재단법인 한글학회 이사장․경북대 명예교수, 김 차균 전 부회장․충남대 명예교수, 박 홍길 전 이사․전 동의대 교수, 오 동춘 전 이사․짚신문학회 회장)께 명예이사 추대장을 드림. 이어서 오후 3시부터 같은 자리에서 2021년도 정기 회원총회를 열어 본회와 지회의 2020년도 사업 실적과 결산, 새해 사업 계획과 예산안을 의결함. 아울러 코로나19 감염증에 따라 우수 논문상 드리는 식은 따로 갖지 않고 상을 받는 고 성연(뉴욕시립대 퀸즈칼리지 조교수), 조 항범(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님께 우수 논문상과 상금을 따로 보냄. |
03.30. | 『한글』 제82권 제1호(통권 제331호)를 펴냄. |
04.15. |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문화재청이 마련한 국가등록문화재 20주년 특별전 “등록문화재, 광화문에서 보다”(4. 16.∼7. 18.) 개막식(오후 3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 참석함. 이번 전시에 『조선말 큰사전』 원고 2권과 『국어문법 육필 원고』 1권을 빌려 줌. |
04.30. | 독립기념관(관장: 한 시준)에서 연 ‘한글, 독립을 꿈꾸다’ 기증자료 특별전(4월 30일~7월 18일)에 1985년 학회에서 기증한 『조선말 큰사전』 원고(5권)와 『한글마춤법통일안』, 『한글』 제5권 제1호(1937. 1.) 등이 전시됨. |
05.14. | 624돌 세종날 기념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주제: 국어사 연구의 과제와 전망)를 학회 유튜브 채널을 통해 비대면 온라인으로 실시간 중계하는 방식으로 대회로 엶. 이 현희(서울대) 교수의 기조 발표를 비롯하여 이 문규(경북대), 이 동석(한국교원대), 신 승용(영남대), 이 금영(충남대), 김 태우(부산대), 석 주연(조선대), 백 채원(서울대), 장 승익(전남대) 님이 주제 발표를 함. |
05.15. | 오전 8시, 624돌 세종날을 기리어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에 꽃 바치기를 함. 이날은 ‘코로나19’ 방역 수칙에 따라 여러 단체가 모이지 않고 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솔회가 대표로 꽃을 바침.
오후 4시부터 한글회관 403호실에서 부설 한말글문화협회 ‘5월 한말글 사랑 이야기 마당’을 엶. 이날 이야기 마당은 비대면 온라인(줌)으로 진행하였는데 이 병운(부산대 교수), 진 용옥(경희대 명예교수) 님이 주제 발표를 하고 최 용기(전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박 용규(우리말로학문학기모임 회장) 님이 토론자로 참여함. |
05.25. | 부설 ‘바른한국어인증원’ 설립(설치, 운영 규정 제정). |
05.26. | 사단법인 세종한글서예큰뜻모임(회장: 유 혜선)이 5월 31일까지 인사동 한국미술관에서 연 제22회 세종 한글 서예 대전을 후원함. |
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