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1. |
2022년 신진학자 연구 지원비(5명, 각 300만 원) 드림. 오후 3시, 학회 회의실에서 신진학자들과 연구 이행 협약을 맺어 한 해 동안(2022. 7. 1.~2023. 6. 30.)의 연구 기간이 끝난 뒤 학술대회와 학술지 『한글』을 통해 연구 성과를 발표하게 됨. |
07.04. |
세종대왕기념사업회(대표이사: 최홍식)와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주관하고 최재형 의원(국민의힘)이 주최한 “세종 정신 되살리기 대토론회”(오후 2시~5시, 국회의원회관 1층 대회의실)에 참석함. |
07.11. |
『한글새소식』 통권 600호 발간을 기리어, 지난 5월 20일(금)부터 6월 30일(목)까지 청소년 산문/만화 공모 행사를 연 결과 중등부(중학생과 고등학생)와 대학부로 나누어 진행한 이번 행사에서는 중등부 산문 부문에서 2편, 대학부 산문 부문에서 3편을 입상작으로 뽑음. |
07.15. |
재단법인 한글학회는 오후 5시, 이사회를 열어 제23기(2022. 8. 10.~2025. 8. 9.) 재단 이사장에 권재일 한글학회 전 회장을 선임하고 임기가 만료된 김대중, 김승곤, 김종택, 이정, 장지익 이사와 이종수 감사의 연임을 승인함. |
07.20. |
국립국어원(원장: 장소원), ㈜네이버(대표: 최수연)와 함께 오후 3시에 국립국어원에서 “근현대 국어사전 자료 구축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엶. |
07.21. | 충남세종지회(지회장: 송홍규)가 공주대학교 국어교육과의 후원으로, 오후 2시부터 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사범대학관 3층 대회의실에서 2022년 여름 정기 학술대회를 엶. |
07.22. |
부설 한말글문화협회가 오후 3시부터 한글회관 2층(201호)에서 “국어기본법을 살리고 지키자”라는 주제로 ‘한말글 사랑 이야기 마당’(주제 발표: 이대로, 토론: 김영환․최용기․차용택․강외산)을 유튜브 채널 실시간 중계로 엶. |
07.27. |
주시경 선생 108주기를 기리어 오후 4시 30분, 국립서울현충원 제2유공자 묘역의 주시경 선생 묘소를 참배함. 이에 앞서 오후 3시 30분에는 ‘주시경마당’(서울 종로구)의 주시경 선생 기념비에 꽃을 바침. |
07.28. |
경남지회가 평의원회를 열고 2년 임기의 제23대 임원진을 구성함. 김덕현 지회장(낙동강학생교육원 원장)이 연임된 가운데, 박혜숙 교장(창원상남초, 전 통영교육장)과 조규환 장학사가 부회장으로 선임됨. |
07.29. |
오후 2시, 한글학회 회의실에서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회장: 차재경) 임시총회를 열어 부산시의 영어 상용도시 조성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 바, 실무추진단(이건범, 김영환, 이창덕, 이대로, 김한빛나리, 홍현보) 구성, 건의서 내기, 부산시장 면담 요청과 항의 방문, 모두모임 회원 단체들의 민원, 건의서, 신문․방송을 통해 적극 대응하기로 함. |
08.05. |
『한글새소식』 제600호를 “『한글새소식』 통권 600호 기념 특집”으로 여느 때보다 4쪽 늘인 28쪽으로 발행함. 이때부터 사람의 성과 이름을 현행 「한글맞춤법」(1988. 1. 14. 문교부)에 따라 붙여 쓰기로 함. |
08.16. |
조선어학회 선열 열운 장지영 선생의 넷째 아드님인 장세경 전 재단이사가 노환으로 세상을 떠남(누린 나이 90살). |
08.20. |
부설 한말글문화협회가 오후 2시부터 한꿈사 회의실에서 “누가 한글을 살리고 누가 한글을 못살게 굴었나?”라는 주제로 ‘한말글 사랑 이야기 마당’을 유튜브 채널 실시간 중계로 엶. |
08.29. |
부산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