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27. | 중국 동북지회 김 선희 지회장이 세상을 떠남. |
02.04. |
편집자문위원을 지낸 송 현(한글문화원 원장) 님이 세상을 떠남. |
02.10. | 학회 부설 한말글문화협회(대표: 이 대로)를 중심으로 한글 시민단체 연합에서 오후 2시, 서울시 종로구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한글 시민단체 정책 제안 기자회견을 열어 “제20대 대통령 후보자들에게 강력히 요구한다!”라는 기자 회견문을 발표함. |
02.24. |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가꿈이 21기 ‘파랑새’ 모둠(노 하린, 하 태성, 이 은영, 민 수정, 이 민영, 류 근영)이 우리 학회를 방문하여 모둠 활동으로 펼친 한글 무늬 상품 판판매 수익금(45만 원)을 기부함. |
03.03. | 짚신문학회(회장: 오 동춘)가 오후 2시부터 한국기독교회관 2층 강당에서 연 제69회 짚신문학 시 낭송회를 후원함. |
03.14. | 오후 2시, 학회 회의실에서 ‘우수 논문상’을 드림. 이 자리에서는 2021년도 |
03.19. | 오후 2시부터 한글회관 특설회의장(옥상)에서 2022년도 정기 평의원회를 열어 새해 사업 계획과 예산안을 심의하고 앞으로 3년 임기의 새 이사와 회장, 부회장을 뽑음. 이어서 오후 3시 30분부터 같은 자리에서 2022년도 정기 회원총회를 열어, 앞서 있었던 평의원회의 임원 개선 결과를 보고하고 회장과 부회장을 인준하는 한편, 새 감사를 뽑음. 이어서 본회와 지회의 2018년도 사업 실적과 결산, 새해 사업 계획과 예산안을 의결함. 이날 새로 뽑힌 제62대 임원진은 회장에 김 주원(서울대 명예교수), 부회장에 이 정택(서울여대 교수) 님이며, 이사 열 한 분은 고 동호(전북대 교수)․김 슬옹(세종국어문화원 원장)․김 용경(경동대 교수)․김 정태(충남대 교수)․김 주원․남 길임(경북대 교수)․박 동근(대진대 교수)․이 관규(고려대 교수)․이 문규(경북대 교수)․이 정택․임 칠성(전 전남대 교수), 감사는 이 근영(대진대 명예교수)․허 경무(한국서체연구회 이사장) 님. |
03.23. | 외솔 최 현배 선생 52주기를 맞이하여 외솔회(회장: 이 창덕)가 오전 10시, 서울 장충단공원 ‘외솔 최 현배 선생 기념비’ 앞에서 연 추모 모임에 참석함. |
03.30. |
『한글』 제83권 제1호 펴냄. 글쓴이와 제목은, 유소연: 19세기 말~20세기 서천 지역어 후설 모음 체계의 특징―『초학요선』과 『한국방언자료집』을 중심으로―, 장승익: 황해도 방언 기반 언어섬 공동체 사례 연구―정농 2세대 언어의 방언 접촉 양상을 중심으로―, 이관규: 남북한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교 및 논점―남한의 교육과정(2015)과 북한의 교육강령(2013)을 중심으로―, 신호철: 국어과 문법 영역 교육과정 개정의 순(順)방향, 고춘화: 국어 교수․학습 방법론의 과제와 전망, 남가영: 국어 교과서의 다면적․중층적 속성에 대한 탐색에 근거한 국어과 교재 개발의 쟁점과 과제, 김선혜․봉미경: 기초 어휘 선정을 위한 정성적 평정 방법과 절차, 김명희․정윤자: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04.26. |
부설 한말글문화협회가 오후 3시부터 한글회관 4층에서 “청와대 터에 세종 정신과 업적을 담자”라는 주제로 ‘한말글 사랑 이야기 마당’(발표: 최은경․이대로, 토론: 김슬옹․최용기․홍현보)을 엶. |
05.13. |
한글재단(이사장: 이태형)의 후원으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한글회관 4층(403호)에서 비대면 온라인 중계(유튜브 채널)로 “625돌 세종날 기념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주제: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를 엶. 이번 학술대회에서 제1부(사회: 김정태 충남대 교수, 총무이사)는 김중섭(경희대)․연재훈(런던대 SOAS, 한국학중앙연구원), 제2부(사회: 이관규 고려대 교수, 출판이사)는 강현화(연세대)․이동은(국민대), 제3부(사회: 이문규 경북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