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1. 12. 03. | 조선어연구회의 규칙을 만들고 조직을 확대․강화함(간사장: 임경재, 간사: 장지영․최두선). |
1924. 02. 01. (음력 1923. 12. 27.) | 훈민정음 창제 8회갑(480돌) 기념회를 엶. |
1924. 11. 03. | 회원 담회회를 엶. |
1926. 11. 04. (음력 09. 29.) | ‘훈민정음 반포 기념일’을 “가갸날”로 정하고 첫 축하회를 가짐. |
1926. 12. 04. | 정기총회를 열어 임원을 새로 뽑음(대표 간사: 이병기, 간사: 신명균․정열모). |
1927. 02. 08. | 동인지 『한글』 첫 호를 펴냄(4×6판, 세로짜기). |
1927. 10. 24. (음력 09. 29.) | 한글사․신민사와 함께 ‘가갸날 기념 축하회’를 엶. |
1928. 02. 11. | 회원 담화회(주제: “내부를 충실케 하자”)를 엶. |
1928. 09. | 경성부 수표정 42번지의 조선교육협회회관으로 사무실(수표동 회관)을 옮김. |
1928. 11. 11. (음력 09. 29.) | “가갸날”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어 ‘한글날 기념 축하회’를 엶. |
1929. 03. 16. | “한글 횡서”(한글 가로 풀어쓰기)를 주제로 월례회를 엶. |
1929. 07. 29. | “조선문 철자법에 대한 원칙과 실제”를 주제로 강연회를 엶(강사: 정렬모, 장지영, 최현배, 권덕규, 신명균). |
1929. 10. 31. | 483돌 한글날 기념 축하식을 열고 “조선어사전편찬회”(발기인: 108명)를 조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