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소개         발자취

1950 ~ 1959년

1950. 04. 01. 세종 중등국어교사 양성소 제3회 입학식을 가짐.
06. 01. 『큰사전』 제3권을 펴냄.
06. 11. 서울 중구 을지로 119번지(을지로 회관)로의 이사를 마침.
06. 24. '한글맞춤법 간소화에 대한 반대 성명서'를 발표함.
세종 중등 국어교사 양성소 제1회 졸업식(졸업생 88명)을 가짐.
06. 25. 6·25 전쟁으로 학회가 비상사태로 빠져듦.
11. 11. 서울 종로구 화동 129번지로 학회 사무실을 다시 옮김.
1951. 01. 04. 4 후퇴로 학회를 다시 비상체제로 운영함.
03. 01. 피난 수도인 부산의 묘심사에 임시 연락소를 차림.
10. 09. 부산에서 부산시와 공동으로 505돌 한글날 기념식을 가짐.
1952. 02. 20. 전쟁 중에 잃었던 책 2,000권을 되찾음.
03. 11. 정 태진 선생 1주기 추모식을 가짐.
10. 09. 부산시와 공동으로 506돌 한글날 기념식을 가짐.
1953. 05. 11. 연구 발표회를 엶.
05. 24. ‘한글맞춤법 간소화 안’을 담은 「국무총리 훈령」 제8호(1953. 04. 27. )에 대한 반대 성명서를 발표함.
10. 09. 서울대학교 강당(동숭동)에서 507돌 한글날 기념식을 대한교육연합회와 공동으로 가짐.
1954. 05. 02.

06. 06.

07. 04.

09. 12.

12. 05.
월례 연구 발표회를 엶.
07. 07. 한글맞춤법 간소화 추진에 대하여 반박 성명을 냄.
09. 29. 서울 종로구 관훈동 151번지로 학회 사무실을 옮김.
10. 09. 풍문여고 강당에서 508돌 한글날 기념식을 갖고, 식이 끝난 후에는 한글타자 경기 대회를 엶.
1955. 02. 06.

04. 10.

06. 12.

07. 10.

09. 11.

11. 22.
월례 연구 발표회를 엶.
04. 01. 『한글』 제110호(표지 108)를 펴냄.
09. 19. 이 승만 대통령이 ‘한글맞춤법 간소화’를 철회함.
10. 09. 문교부, 대한교련, 국어국문학회 등과 공동으로 509돌 한글날 기념식을 가짐.
1956. 03. 01. 『한글』 제116호를 펴냄.
04. 29.

07. 08.

09. 16.

10. 14.

10. 28.

11. 18.
월례 연구 발표회를 엶.
10. 09. 경기여고 강당에서 510돌 한글날 기념식을 개최하고, 식후에 그 자리에서 '세종대왕기념사업회'를 발기·창립함.
10. 28. 대통령의 한글전용 강조 담화에 대해 감사장을 내고, '한글전용에 관한 성명서'를 발표함.
12.05.

한글학회와 서울시사편찬위원회가 현장을 답사하여 서울시 종로구 통인동 137번지 일대를 '세종대왕 나신 곳(탄생지)'으로 밝힘.

1957. 02. 20. 『한글』 제120호를 펴냄.
06. 23.

09. 22.

11. 10.

12. 03.
월례 연구 발표회를 엶.
06. 30. 『큰사전』 제5권을 펴냄.
08. 30. 『큰사전』 제4권을 펴냄.
10. 09. 『큰사전』 제6권을 펴냄. 그로써 6권 완간. 『큰사전』 완간 기념식을 겸하여 세종대왕기념사업회와 공동으로 511돌 한글날 기념식을 시공관에서 가짐.
10. 24. 『큰사전』 편찬 순직자 다섯 분―이 윤재, 한 징, 권 덕규, 이 중화, 정 태진―을 기리는 추도식을 가짐.
11. 01. 중사전 편찬 위원회를 구성함.
1958. 02. 25. 『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 용어 수정판을 펴냄(제251판).
04. 28. 서울 종로구 신문로 1가 58-14의 터(신문로 회관, 오늘날의 한글회관)와 건물을 사서 학회 사무실을 옮김.
06. 15. 『중사전』을 펴냄.
09. 20. 『소사전』 편찬을 결의함.
10. 09. 『한글』 제123호를 펴냄. 512돌 한글날 기념식을 가짐.
10. 23. 한글날 국경일 지정 건의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함.
12. 07. 연구 발표회를 엶.
1959. 03. 08.

06. 20.
연구 발표회를 엶.
10. 09. 『한글』 제125호를 펴냄. 513돌 한글날 기념식을 가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