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 03. 23. | 최 현배 선생 20주기 추모식을 가짐. |
03. 29. | 연구 발표회를 엶. |
04. 25. | ‘한글날을 법정 공휴일에서 빼려는, 정부의 움직임이 부당하다’는 내용의 건의서를 대통령에게 냄. |
05. 19. ~ 20. |
593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6. 20. | 성명서 '민주자유당 최고위원들의 한자교육 강화 발언을 개탄한다'를 발표함. |
08. 09. ~ 11. |
제6회 우리 말글 연수회를 엶. |
08. 31. | 한글학회 창립 82돌 기념 발표대회를 엶. |
10. 08. |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544돌 한글날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치름. |
'우리 말과 글을 위하여 애쓰신 스승(28분)에 대한 추모의 밤'을 엶. | |
10. 09. | 544돌 한글날 기념 한말글운동 공로 표창식 및 연구보조비 전달식을 가짐. |
계몽 자료집 『우리 말살이의 바른 길』,『겨레의 글자살이는 한글만으로!』,『반문화적·반민족적 처사를 걷어치우라』를 펴냄. | |
11. 15. | 한글날이 법정 공휴일에서 제외됨(대통령령 제13155호). |
12. 05. | '국어학 연구보조비' 제도를 '우수 논문상' 제도로 바꾸기로 결의함. |
12. 05. | 『한글 새소식』 제220호를 펴냄. |
1991. 03. 23. ~ 24. |
정기총회 기념으로 '북한 언어학 연구'를 주제로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5. 18. | 594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8. 31. | '옛시가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9. 11. | 한글날 공휴일 배제를 반대하는 청원서를 노 태우 대통령에게 냄. |
09. 30. | 『북한 언어학 연구』를 펴냄. |
10. 09. ~ 10. |
545돌 한글날 기념하여 제4회 국제 한국어 학술대회를 엶. 주제: 외국사람에 대한 한국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10. 09. ~ 15. |
'한글도안 상품 큰잔치'를 엶. |
10. 13. | 경남지회에서 제15회 국어순화 경시대회를 벌임. |
11. 02. | ‘10월의 문화 인물’ 주 시경 선생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12. 03. | 『한국 땅이름 큰사전』을 펴냄. |
12. 05. | 『한글 새소식』 제232호를 펴냄. |
12. 10. |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를 심사함. |
12. 22. | 『우리말 큰사전』 제1권을 펴냄. |
12. 30. | 『한글』 제214호를 ‘옛시가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 특집으로 펴냄. |
12. 30. | 『외국인에 대한 한국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를 펴냄. |
1992. 01. | 『우리말 큰사전』 제2권을 펴냄. |
02. | 『우리말 큰사전』 제3권을 펴냄. |
02. 01. | '국민학교 한자교육 반대 건의서'를 대통령과 교육부 장관 등 관계 기관에 냄. |
03. 21. | '한자 섞어 쓰기 주장에 대한 비판 대회'를 엶. |
04. | 『우리말 큰사전』 제4권을 펴냄. |
04. 25. | 『우리말 큰사전』 출판 기념회 베풂. |
05. 29. ~ 30. |
'초창기 『한글』에 실린 논문에 대한 검토와 평가'를 주제로, 595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8. 30. | 학회 창립 84돌 기념 연구 발표회를 엶. |
08. 30. | 학회 창립 84돌 기념식과 함께 『한글』 창간 60돌 및 『한글 새소식』 창간 20돌 기념식을 가짐. |
09. 05. | 『한글 새소식』 제241호를 ‘창간 20돌 기념’ 특집호로 펴냄. |
09. 30. | 『한글』 제217호를 펴냄. |
10. 01. | '조선어학회 수난 50돌 되새김의 밤'을 가짐. |
10. 09. | 546돌 한글날 기념 표창식 및 시상식을 가짐. |
10. 31. | '미래의 한글'을 주제로 546돌 한글날 기념 연구 발표회를 엶. |
12. 05. | 『한글 새소식』 제244호를 펴냄. |
12. 20. | 『교육 한글』 제5호를 '말하기·듣기 교육'을 주제로 하여 펴냄. |
1993. 01. 05. |
『한글 새소식』 제245호를 펴냄. 이때부터 학회 안에서 컴퓨터 문서 편집기(아래아 한글)로 판짜기를 하여 찍어냄. |
01. 29. |
'김 영삼 차기 대통령께 드리는 건의서'를 냄. |
01. 30. | 조선어학회 수난 50돌 기념 글모이 『얼음장 밑에서도 물은 흘러』를 펴냄. |
03. 27. | 정기총회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4. 23. | 새 나라 건설을 위한 말글 정책 강연회를 엶. |
05. 15. | 596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회를 엶. |
07. 01. | 특별 연구 발표회를 엶. |
07. 29. ~31. |
제7회 우리 말글 연수회를 엶. |
08. 20. | 『한힌샘 주 시경 연구』 제5·6호를 ‘김 두봉 선생 연구’ 특집으로 펴냄. |
08. 31. | 학회 창립 85돌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10. 09. | 한힌샘 주 시경 선생 얼굴상(흉상)을 한글회관 출입문 옆에 세움. |
10. 09. | 547돌 한글날을 기념하여 한말글운동 공로 표창식과 각종 시상식을 가짐. 제1회 ‘한힌샘 주 시경 상’을 시상함. |
10. 09. | 흑룡강분회(중국) 창립. |
10. 16. | '외솔의 국어학과 그 영향'을 주제로 547돌 한글날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최 현배 선생 글모이 『앉으나 서나 겨레 생각』을 펴냄. |
|
11. 06. | 제2회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 시상식을 가짐. |
11. 27. | 한글풀어쓰기 연구 발표회를 엶. |
12. 05. | 『한글 새소식』 제256호를 펴냄. |
12. 23. | 성명서 '21세기 위원회의 어문정책 건의를 반박한다'를 발표함. |
12. 30. | 『한글』 제222호를 ‘북한 언어학 연구’ 두 번째 특집으로 펴냄. |
1994. 02. 28. | '지금이 어느 땐데 한자타령이냐!'라는 주제로 21세기 말글정책 강연회를 엶. |
03. 26. | 정기총회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3. 26. | 정기총회에서 회칙의 일부를 고쳐, 학회 이사장을 ‘회장’이라 부르고 ‘부회장’ 약간 명을 두기로 함. |
05. 01. | 홍보 자료집 『‘고통의 문자’ 왜 부활시키려 하는가?』를 펴냄. |
05. 14. | 597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5. 25. | '서울 시청 현판에 대한 건의서'를 서울시장에게 냄. |
05. 27. | 국민학교에서의 한자교육을 반대하는 내용의 건의서를 교육부 장관에게 냄. |
06. 09. | 김 윤경 선생 나신 100돌 기념 강연회를 엶. |
07. 20. | 『훈민정음』 해례본 영인본을 새로 찍음. 1946년 초판의 인쇄상의 잘못을 바로잡고 이용에 편리하게 함. |
07. 28. ~30. |
제8회 우리 말글 연수회를 엶. |
08. 31. | 한글학회 창립 86돌 기념 연구 발표회를 엶. |
09. 25. | 『교육 한글』 제7호를 ‘수학능력 시험에 관한 평가와 전망’ 특집으로 펴냄. |
09. 30. | 『한글』 제225호를 ‘한글학회 부산지회 창립 30돌 기념’ 특집으로 펴냄. |
10. 06. | '외솔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주제로 최 현배 탄생 100돌 기념 경연회를 엶. |
10. 08. ~12. |
중국 상하이 외국어대학교에 한국어과가 설치됨에 따라 관계자 5명을 초청하여 교류 방안 협의함. |
10. 09. | 548돌 한글날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548돌 한글날 기념하여 한말글운동 공로 표창식 및 시상식을 가짐. |
『한글』 영인본 새로 간행함. | |
피시통신 하이텔에 '한글학회 한글정보' 마당을 엶. | |
10. 19. ~31. |
‘한글학회 한글정보’(PC통신 ‘하이텔) 개설 기념으로 누리그물(인터넷)에서 '우리말 짜맞추기(우리말 퍼즐) 큰잔치'를 엶. |
10. 29. | '옛소설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특별 연구 발표회를 엶. |
12. 05. | 『한글 새소식』 제268호를 펴냄. |
12. 22. | 한글풀어쓰기를 주제로 연구 발표회를 엶. |
12. 30. | 『한글』 제226호를 펴냄. |
12. 31. | 『문학 한글』 제8호를 ‘이 병기 선생 연구’ 특집으로 펴냄. |
1995. 01. 25. | 『한힌샘 주 시경 연구』 제7·8호를 ‘최 현배·김 윤경 선생 나신 100돌 기념’ 특집으로 펴냄. |
03. 25. | 정기총회 기념 연구 발표회를 엶. |
03. 25. | 정기 평의원회 및 총회를 열어 임원을 개선함. |
04. | ‘국민학교 영어교육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함. |
05. 12. | 598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회를 엶. |
06. 30. | 『국어학 사전』을 펴냄. |
07. 30. | 『교육 한글』 제8호를 전국 현장연구 대회에서 뽑힌 국어과 우수 논문들을 모아 특집으로 펴냄. |
08. 10. | 재단 이사회를 열어 이 진우를 새 감사로 선임함. |
08. 31. | 학회 창립 87돌 기념 연구 발표회를 엶. |
09. 30. | 『한글』 제229호를 펴냄. |
10. 08. | 제21회 영남지구 합동 연구발표회를 엶. |
10. 09. | 한말글운동 공로 표창식, 우수 논문상 시상식, 한힌샘 주 시경 상 시상식,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 시상식을 가짐. |
10. 9. ~ 15. |
549돌 한글날 및 광복 50돌을 기리어 '한글사랑 나라사랑 전시회'를 엶. 이 기간 동안 같은 장소에서 '한글 타자 속도 자랑하기' 대회도 함께 베풂. |
10. 13. | 549돌 한글날 기념 발표대회를 엶. |
12. 26. ~ 28. |
제9회 우리 말글 연수회를 엶. |
12. 27. | '초창기 『한글』(제10~30호)에 실린 글에 대한 검토와 평가'를 주제로 연구 발표대회를 엶. |
1996. 01. 01. | 국어와 사회과 교과서에서 괄호 안에 한자를 넣기로 한 교육 개혁 방안에 대하여 반대하는 성명서를 냄. |
02. 01. | 전자 한국어사전 『한('ㅏ'는 아래아)글 우리말큰사전』(시디-롬)을 펴냄. |
03. 29. | 장 지영 선생 가신 20돌 추모 강연회를 엶. |
평의원회에서 평의원 10명을 보충함. 모두 54명이 됨. | |
05. 17. | 599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회를 엶. |
05. 25. | 『한힌샘 주 시경 연구』 제9호를 ‘한글사랑 나라사랑’ 특집으로 펴냄. |
06. 10. | 광복회와 함께, ‘옛 조선총독부 청사를 이전·복원하려는 일부 세력의 움직임’에 대해 엄중 경고하는 성명서를 냄. |
08. | 대전지회에서 『한밭 한글』을 창간함. |
08. 31. | 학회 창립 88돌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10. 09. | 누리그물(인터넷)에 한글학회 누리집(http:www.hangeul.or.kr)을 엶. |
10. 09. | 550돌 한글날을 기념하여 한말글운동 공로 표창식,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 우수 논문상 시상식, 한힌샘 주 시경상 시상식을 가짐. |
10. 13. | 경남지회 주최 제20회 국어순화 경시 대회를 엶. |
10. 14. ~ 15. |
550돌 한글날 기념으로 제5회 국제 한국어 학술대회를 엶. 주제: 세계 각국의 한국어 연구 현황과 교육 방향. |
10. 29. | ‘10월의 문화 인물’로 선정된 정 인승 선생 기념 강연회를 엶. |
12. 08. | '국어학 연구 성과와 미래의 연구 방향'이란 주제로 부산·경북·김해·마산지회와 전남·전북지회가 공동으로 동아대학교에서 영남·호남지구 합동 연구 발표대회를 엶. |
12. 10. | 국어 교육에 관한 건의서를 냄. |
12. 16. | 『국어학 자료은행 편람』 Ⅰ~Ⅳ권을 펴냄(국어학 논문 20,375편). '국어학 자료은행 찾아보기'(시디-롬 타이틀) 만듦. 누리집에 자료 실음. |
1997. 03. 29. | 정기총회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5. 05. | 『한글 새소식』 제297호를 ‘세종 대왕 나신 600돌 기념호’로 펴냄. |
05. 23. | 세종대왕 나신 600돌 기념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6. 01. | 건의서 '각급 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섞어서는 안 됩니다'를 제출함. |
07. 07. ~ 19. |
제1회 '국외 한국어교사 연수회'를 엶. 16개 나라에서 36명 참가. |
08. 05. | 『한글 새소식』 제300호를 ‘제300호 기념’ 특집으로 펴냄. |
08. 30. | 학회 창립 89돌 기념 연구 발표대회 개최. |
『한글 새소식』 제300호 펴낸 기념식을 가짐. | |
09. 30. | 『한글』 제237호를 ‘북한 언어학 연구’ 세 번째 특집으로 펴냄. |
10. 09. | 551돌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말글운동 공로 표창식과 우수 논문상 시상식,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 시상식을 가짐. |
10. 13. ~ 14. |
세종대왕 나신 600돌 기념으로 제6회 국제 한국어 학술대회를 엶. |
11. 01. ~ 12. 31. |
중국 동포에게 책 보내기 운동을 펼침. |
11. 14. | ‘10월의 문화 인물’로 뽑힌 장 지영 선생 기념 강연회를 엶. |
12. 25. | 간송미술관 소장 『훈민정음』 영인본과 『훈민정음: 옮김과 해설』을 펴냄. |
1998. 01. 22. | 성명서 '국민 여러분! 지금 우리는 ‘한자 타령’이나 하고 있을 때가 아닙니다'를 발표함. |
02. 26. | 정기 평의원회에서 임원을 개선함. |
06. 05. | 『문학 한글』 제11·12호를 ‘정 병욱 선생 연구’ 특집으로 펴냄. |
07. 13. ~ 25. |
제2회 국외 한국어교사 연수회를 엶. 18개 나라에서 35명 참가. |
09. 30. | 『한글』 제240·241호를 ‘한글학회 창립 90돌 기념’ 특집으로 펴냄. |
10. 09. | 552돌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말글운동 공로 표창식, 우수논문상 시상식,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 시상식을 가짐. |
10. 09. ~ 22. |
특별 전시회 '한글의 역사와 미래'를 ‘예술의 전당’에서 엶. |
10. 17. ~ 18. |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를 엶. |
10. 30. | 『한힌샘 주 시경 연구』 제10·11호를 ‘정 태진 선생 연구’ 특집으로 펴냄. |
12. 30. | 문화관광부의 지원으로 『한국 땅이름 전자사전』(시디-롬)을 냄. |
1999. 02. 10. | 정부 종합청사와 문화관광부 앞에서 한자병용 반대 시위를 가짐. |
03. 01. | 서울, 부산, 대구, 대전, 마산에서 동시에 '우리 말글문화 독립 선언 선포식'을 가짐. |
03. 27. | 진주지회 창립. |
05. 21. | 602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회를 엶. |
07. 05. | 청원서 '법률도 이제 한글전용을 해야 합니다'를 냄. |
07. 09. | '한글날 국경일 제정 공청회'를 세종문화회관 대회의실에서 엶. |
07. 12. ~ 24. |
제3회 국외 한국어교사 연수회를 엶. 24개 나라에서 46명 참가. |
08. 27. |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문제점'을 주제로 연구 발표대회를 엶. |
09. 05. | 제1회 ‘외국인 한국어 발표대회’를 엶. 21명 참가. |
10. 09. | 『교육 한글』 제11·12호를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문제점' 특집으로 펴냄. |
10. 09. | 553돌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말글운동 공로 표창식과 각종 시상식을 가짐. |
10. 28. | ‘10월의 문화 인물’로 뽑힌 최 세진 선생 기념 특별 발표회를 엶. |
12. 30. | 『깁고 더한 쉬운말 사전』을 펴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