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한마당         학회도서관         인물자료

이강로


한글학회 도서부 이사
1918년 4월 12일(음력): 충청남도 아산군 둔포면 운룡리(능안말)에서 본관 전의 청강공파(淸江公派) 이 근영 공의 외아들로 태어나다. 호는 하정.
 
1923년 11월(음력): 경기도 진위군 부용면 석근리 향숙에서 한문 수학.
 
1926년 4월 1일: 충청남도 아산군 둔포면 둔포 공립 보통 학교 입학.
1934년 3월 27일: 위 학교 졸업.
1934년 4월 1940년 10월: 아산군 둔포면 운룡리 소재 서당에서 한문 수학.
1945년 10월 7일 1951년: 조선어학회(현재의 한글학회) 사전 편찬원.
1951년 6월 1953년 6월: 대한민국 공군 사관 학교 문관 교수.
1953년 6월 1962년 1월: 한글학회 사전 편찬원.
1953년 7월 1954년 6월: 배재고등학교 교사.
1957년 10월 9일: 문교부 장관 표창장 받음.
1962년 2월 7일: 교수 자격 인정(인정 번호 제112호), 국어학.
1962년 3월 1977년 9월: 인천교육대학 교수.
1971년 11월: 경기도 문화상 받음.
1973년 11월: 대한민국 훈장 석류장 수상.
1975년 1982년 9월: 신구전문대학 재단 감사.
1977년 10월 1987년 3월: 단국대학교 교수, 한한 대사전 편찬 실장.
1982년 10월 1985년 10월: 신구전문대학 재단 이사.
1985년 10월 현재: 한글학회 재단 이사.
1985년 11월 1991년 7월: 신구전문대학 재단 이사장.
1986년 3월~2004년 3월: 한글학회 이사.
1991년 8월 현재: 신구전문대학 재단 이사 겸 고문.
1992년 10월 9일: 한글 유공자로 선정, 대통령 표창 받음.
2004년 3월 13일: 한글학회 명예이사. 

 

〈저서 및 번역서〉
조선 문학 연구-단가 해석-: 1948년, 출판사 모름.
월인천강지곡(상): 1962년, (허 웅과 함께) 신구 문화사.
국어과 현장 교육의 문젯점: 1964년, 교학 도서 주식회사.
국어 교육의 바른 길: 1970년, 박영사.
現譯西廂記: 1949년, 문조사.
訥齋集: 1972년, (양 성지 저, 권 오돈 외) 동화 출판 공사.
華城城役儀軌(상 중 하): 1977 1979년, 신구 문화사.
淸江集: 1993년, 춘강 출판사.  

 

〈논문〉
'ㄹ' 음의 특질에 대하여〈국어국문학 제14집, 1955〉
어휘의 선정〈배재 제24호, 1961〉
국어 형태 음운의 변동에 대하여〈한글 제128호, 1961〉
국민 학교 국어 교과서의 몇 가지 문제점〈새교육 제108호, 1963〉
형태 음운의 동요와 표준음의 설정〈인천교대 논문집 제1집, 1963〉
형태소 '-어'의 연구〈한글 제131호, 1963〉
학교 문법의 현황과 그 지도 방안에 대하여-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경대 문학 제1집, 1966〉
표준어와 발음의 시급한 정상화〈새교실 제117호, 1966〉
파생 접사 '-지-'의 형태론적 연구〈인천교대 논문집 제2집, 1967〉
현대 국어의 화법에 대한 연구-특히 통사론적 구성을 중심으로-〈인천교대 논문집 제3집, 1968〉
국어과 지식 구조 서설〈새교실 제147호, 1968〉
형태 음소의 유동에 관한 연구〈인천교대 논문집 제4집, 1969〉
현대 국어의 조사에 대한 기초 연구〈인천교대 논문집 제6집, 1971〉
현행 맞춤법의 몇 가지 문젯점〈한글 학회 50돌 기념 논문집, 1971〉
인천의 옛 이름 '買召忽'에 대한 어원적 고찰〈기전 문화 연구 제1호, 1972〉
삼국사기 지리지에 기사된 '買' 자의 연구〈기전 문화 연구 제2호, 1973〉
양평군 청운면의 땅이름 조사 연구〈기전 문화 연구 제3호, 1973〉
인천시 남동 출장소 관내 땅이름 조사 연구〈기전 문화 연구 제4호, 1974〉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 관계의 연구〈인천교대 논문집 제8집, 1974〉
인천시 남구 지역 땅이름 조사 연구〈기전 문화 연구 제5호, 1974〉
吏學指南의 연구-서지학적 고찰을 중심으로〈인천교대 논문집 제9집, 1975〉
안성군 이죽면(당목리, 두교리, 칠장리)의 땅이름 조사 연구〈기전 문화 연구 제6호, 1975〉
국민학교 국어 시간 수에 대하여〈새국어 교육 제24호, 1976〉
용인군 모현면의 땅이름 조사 연구〈기전 문화 연구 제7호, 1976〉
한자 교육에 따르는 문제점-국민 학교 학습 시간을 중심으로-〈한글 제157호, 1976〉
여주군 북내면 북부 지역의 땅이름 조사 연구〈기전 문화 연구 제8호, 1977〉
한자의 특질과 중국의 어문 교육〈국어 순화 총서 제8집, 1977〉
한국 궁술 어휘의 연구〈아카데미 논총 제5집, 1977〉
현행 맞춤법 규정 모순이나 잘못 없다〈말과 글 제7호, 1978〉
한국 한자어의 어휘 의미의 연구-上 下자를 구성 요소로 한 낱말을 중심으로-〈한글 제162호, 1978〉
읽기의 고속화에 대처할 문자 교육〈나라글 사랑과 이해, 1982〉
외래어 표기 원칙의 적용 범위〈말과 글 제14호, 1982〉
글자의 본질과 그 교육에 따르는 문제점-한글과 한자의 비교 면에서-〈세종 문화 제61 64호, 1982〉
차자 표기에 대한 연구-[상방 정례] 권1의 진상 의류를 대상으로-〈한글 제181호, 1983〉
인칭 매김법 '在(-견)'에 대한 연구-[대명률 직해]를 중심으로-〈한글 제184호, 1984〉
토박이말을 한자어로 잘못 아는 말〈국어 생활 제8호, 1987〉
한자어의 기원적 계보〈국어 생활 제8호, 1987〉
[대명률 직해] 이두의 기초 연구-고실감(故失減)의 '失出'의 이두 옮김-〈한글 제200호, 1988〉
[대명률 직해] 부정법의 연구〈겨레 문화 제3집, 1989〉
[대명률 직해]에 나타난 인용말의 연구〈세종학 연구 제4호, 1989〉
차자 표기에 쓰인 '內' 자에 대한 연구〈한글 제203호, 1989〉
차자 표기에 쓰인 內/[예]에 대한 연구〈한글 제205호, 1989〉
[대명률 직해] 이두의 하임법 使內의 연구-발달 과정을 중심으로-〈동방학지 제67집, 1990〉
차자 표기에 쓰인 '內'의 연구 (Ⅲ)〈한글 제211호, 1991〉
류렬 지은 [세나라시기의 리두에 대한 연구] 평설〈한글 제213호, 1991〉
[세나라시기의 리두에 대한 연구]에 드러난 문제점〈동방학지 제71· 72합집, 1991〉
운문오갑(雲門五岬)에 딸린 땅이름 연구〈동방학지 제74집, 1992〉
'內米 餘美 汝湄 猿'과 '海'와의 관계와 그 해독에 대하여〈한글 제218호, 1992〉 

 첨부파일
이강로_1056164310.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