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치는 대로 쳐부수고 아무거나 처먹고
정호성(鄭虎聲) / 국립국어원
현대국어에서 ‘ㅈ, ㅊ’ 다음에 이중모음이 결합된 ‘쟈, 져, 죠, 쥬, 챠, 쳐, 쵸, 츄’와 같은 발음은 단모음이 결합된 ‘자, 저, 조, 주, 차, 처, 초, 추’와 구분이 되지 않는다. 이들은 표기상으로는 구별되지만 실제 언어 생활에서 ‘져/저’나 ‘쳐/처’ 등을 구별해서 발음하거나 알아듣는 일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현대국어의 화자들은 ‘저’와 ‘져’를 [저] 하나로, ‘처’와 ‘쳐’ 역시 [처] 하나로 발음한다.([ ]는 발음을 나타냄) 이런 이유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쟈, 져, 죠, 쥬, 챠, 쳐, 쵸, 츄’ 등의 음절을 쓰지 않도록 하고 있다.(주스/*쥬스, 레저/*레져, 텔레비전/*텔레비젼, 초콜릿/*쵸콜릿)
그런데, 이처럼 구별되지 않는 소리들을 한글로 적을 때는 ‘저’와 ‘져’, ‘처’와 ‘쳐’로 구별해서 적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한글 맞춤법의 근본 정신인 ‘원래의 형태(원형)를 밝혀 적으려는’ 의도에서 그런 것이다. 즉 어떤 단어의 원형을 밝힐 수 있으면 그 원형을 밝혀서 적고, 원형을 밝힐 수 없으면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이 한글 맞춤법의 큰 원칙이기 때문이다.
가령, 동사 ‘미치다[狂]’에 어미 ‘-어’가 결합한 ‘미치어[미치어/미치여]’가 줄어들면 실제 발음은 [미처]가 되지만 적을 때에는 동사 어간 ‘미치-’에 어미 ‘-어’가 결합한 것을 고려하여(원형을 밝혀) ‘미쳐’로 적게 되는 것이다. 반면,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 미처 손을 쓸 새도 없이 당했다.’에 쓰인 부사 [미처]는 소리 나는 대로‘미처’로 적어야 한다. 왜냐하면 부사 [미처]는 동사 ‘미치다1[정신이 돌다]’, ‘미치다2[닿다, 다다르다]’와는 그 의미와 용법에서 차이가 많이 나므로 이들을 [미처]의 원형으로 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거꾸로 말하면, 현대국어의 [처]라는 소리를 ‘처’로 적을 것인지 ‘쳐’로 적을 것인지는 원형을 고려해 보아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은 어떻게 적어야 할지를 생각해 보자.
(1) 적진으로 [처]들어가 적군을 [처]부수고 돌아왔다.
(2) 일거리는 구석에 [처]박아 놓고 밥만 [처]먹고 앉았다.
(3) 아이는 숙제는 밀[처]놓고 내[처] 게임만 하고 있다.
(1)의 ‘[처]들어가, [처]부수고’의 [처]에는 ‘치다[打]’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치- + -어} + 들어가다’, ‘{치- + -어} + 부수다’의 구성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원형을 밝힐 수 있으므로 ‘쳐들어가, 쳐부수고’로 적을 수 있다.
(2)의 ‘[처]박아, [처]먹고’의 [처]는 (1)과는 달리 ‘마구, 매우 많이, 매우 심하게’의 뜻이 담겨져 있다. 그런데 용언 ‘치다’에서는 이런 의미를 찾을 수 없으므로 이 말들을 ‘{치- + -어} + 박다’, ‘{치- + -어} + 먹다’의 ‘쳐박다, 쳐먹다’로 볼 수는 없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쓰인 [처]는 그 원형을 밝힐 수 없으므로 소리 나는 대로 ‘처’를 써서 ‘처박아, 처먹고’로 써야 한다.(여기에 쓰인 ‘처-’는 ‘매우, 많이’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두사이다.)
(3)의 [밀처노코]는 ‘{밀치-[推] + -어} + 놓고’의 구성임이 쉽게 드러나므로 그 원형을 살려 ‘밀쳐놓고’로 적을 수 있다. 하지만 [내처]는 현대국어의 ‘내치다’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다른 어떤 단어와도 연관성을 찾기 힘들므로, 즉 원형을 밝히기 힘들므로 소리 나는 대로 ‘내처’로 적어야 한다.
이와 같이 현대국어에서 [처]라는 발음은 ‘쳐’와 ‘처’로 표기할 수 있지만, 둘 중 어느 것으로 써야 하는지는 그 말의 원형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특히 단어의 첫음절이 [처]일 때는 혼동하여 잘못 적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4) 단어의 첫음절이 [처]인 경우(표준국어대사전 검색 결과)
구분 해당 단어
‘처’로 쓰는 단어
처넣다, 처닫다, 처담다, 처대다, 처들이다, 처마시다, 처맡기다, 처매다, 처먹다, 처먹이다, 처박다, 처박히다, 처자빠지다, 처지르다, 처지다, 처트리다, 처뜨리다
‘쳐’로 쓰는 단어 쳐내다, 쳐다보다, 쳐다보이다, 쳐들다, 쳐들리다, 쳐올리다, 쳐들어가다, 쳐들어오다, 쳐부수다, 쳐주다
한편, 현대국어에서는 단어의 첫음절이 [자, 저, 조, 주, 차, 초, 추]라면 그 표기는 ‘자, 저, 조, 주, 차, 초, 추’로 해야 한다. 왜냐하면 ‘쟈, 져, 죠, 쥬, 챠, 쵸, 츄’로 시작하는 단어는 하나도 없어서 혼동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뿌리깊은나무: 언어님께서 이런 못된 글을 자꾸 올리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중모음에 대한 집착이 대단하신데 잘못된 학설이나 주장은 고쳐야 한글의 발전을 기대할 수가 있습니다. 님처럼 그렇게 완고한 고집을 보노라면 옛 선비들의 수구적인 완고함을 엿볼 수 있는 것같아 안타깝습니다.
어떻게 [자 저 조 주]라는 소리와 [쟈 져 죠 쥬]의 소리가 같다고 억지를 쓰는 사람들과 동조를 하십니까? [ㅑ ㅕ ㅛ ㅠ]의 소리를 이중모음이라고 하면서 ㅈ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와 어울린 소리와 같은 소리라고 억지를 쓰는 사람들의 장단을 맞춥니까? [자 저 조 주]의 소리를 낼 때에는 입이 동그랗게 벌려지지만 [쟈 져 죠 쥬]의 소리를 낼 때에는 입의 양끝이 아래로 늘어지면서 입이 일그러지면서 나오는 소리이므로 분명히 다른 소리가 납니다 이런 소리의 차이를 모르는 사람들이 국립국어워을 비롯해서 구 경성제국대학 출신들이고 현재의 나랏말 학계의 학자들입니다. -[2005/10/26-10:05]-
마인드워시: 자,저,조,주 와 쟈,져,죠,쥬가 구분되지 않은 원인은 ㅈ의 음성의 특징때문입니다.
ㅈ은 파찰음의 일종으로 '치조-경구개 파찰음'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ㅈ에 ja발음이 와도 음성적으로 같아지게 되는거죠. 왜냐하면 j발음이 경구개에서 나기 때문입니다. -[2005/10/26-12:57]-
마인드워시: 일본어같은 경우는 ㅈ발음이 '치조-치조 파찰음'이기 때문에 일본어에서 '자'와 '쟈'는 음성학적으로 구분이 됩니다. -[2005/10/26-12:58]-
마인드워시: 그리고 한국어에서 '쟈'와 일본어에서 '쟈'는 음성학적으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전자는 마찰단계에서 설정이 경구개에 접촉하나 후자는 설단이 경구개에 접촉합니다. -[2005/10/26-13:02]-
마인드워시: 그래서 '자'와 '쟈'가 의미론적으로 구분이 된다고 해도 음성학적으로는 구분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2005/10/26-13:03]-
마인드워시: 그리고 사족으로 ㅑ,ㅕ,ㅛ,ㅠ는 단모음이던가 이중모음이던가 둘 다 아니고 자음+모음인 2개의 음소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영어에서 ay,aw,eo,ew같은 1개의 음소가 아니고 한국어에서 ㅏ,ㅓ,ㅗ,ㅜ같은 1개의 음소도 아닙니다. -[2005/10/26-13:10]-
마인드워시: 영어에서 이중모음은 음성학적으로는 2개이지만 음운론적으로는 1개입니다. 참고로 자언어중심주의적 시각은 자제하시길 바랍니다. -[2005/10/26-13:11]-
마인드워시: 언어님께서는 성향이 조금 보수적이시고 뿌리깊은나무님께서는 음성과 음운을 구별하지 못하고 변별자질과 잉여자질의 의미와 음소와 이음의 의미를 모르고 있습니다. -[2005/10/26-13:13]-
언어: 아무튼 이름 또는 자음이냐 모음성이 있긴 있느냐 따질 것 없이
(제가 이 부분 더 배워야 하겠습니다. 취미로 배우지
음성.음운론 정식 교재.책 본 적 없어서.) 이야 어떻든
1.어울림 소리이다. ㅑ,ㅙ 따위가..
2. 어울림 소리는 어울린 결과는 단음, 홑(單)이지만
그 과정에서는 바뀌면서 변화한다,
이런 것은 ㅣ,ㅏ나 ㅗ, ㅐ 와 다르다.
혀나 턱, 입이 처음과 나중에서 바뀌지 않고 어울림 소리는 바뀐다.
이것은 훈민정음 해례본 구절입니다. 제자해.
말소리를 이해하고 글자를 지어냈습니다.
ㅛ與ㅗ同而起於ㅣ.
ㅛ와 ㅗ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ㅣ 발음과 ㅗ발음을 연이어하는 발음이라는 뜻이다.)
ㅑ與ㅏ同而起於ㅣ.
ㅑ와 ㅏ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ㅠ與ㅜ同而起於ㅣ.
ㅠ와 ㅜ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ㅕ與ㅓ同而起於ㅣ.
ㅕ와 ㅓ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된다.
끝으로 제가 배우고 생각해야 할 것, 의문.
먼저 음소입니다. 음소의 ? -[2005/10/26-17:06]-
언어: 끝으로 제가 배우고 생각해야 할 것, 의문.
먼저 음소입니다. 음소의 개념, 정의..
그래야 자음+모음이 2개의 음소라는 것을 이해. -마인드워시님이 쓰신 것.
앞에 자음은 ㄱ,ㄴ,ㄷ.. 여느 자음과 다르지만 자음으로 분류되는
경구개 유성 접근음?인 j.y(ㅑ..), w(ㅙ..)로 소리나고 표기되는데
그게 음소라는 말씀입니다. 앞에 소리는
활음, 전이음, 이동음(glide)이라고도 불리고 y, w는 모음 i, u와 비슷한 모양을 취하나 입천장에 더 가깝게 좁혀 발음한다고 합니다.
마인드.. 님은 경구개 유성 접근음으로 자음이라고 합니다.
-[2005/10/26-17:06]-
언어: 연구개도 있네요^^ w..
영어와 국어의 저런 어울림 소리 같고 다른점, 튿히 차이가 궁금하고
또 우리말만의 특색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알파벳이나 국제음성기호로 표기되는 j,y나 w가 과연 국어의 ㅑ나 ㅙ 따위의
바른 표시인지도 좀 의심. 국제음성기호이지만 영어에서의 y나 w 소리는
우리의 어울린 소리 말법과는 다르지 않겠는가. 미국과는 반대로 길고나 혹은 짧게 내는 것이 뒤집혔다고 하니까.
-[2005/10/26-17:37]-
언어: 활음, 전이음, 이동음(glide)이라고도 불린다.
y, w는 i, u와 비슷한 모양을 취하나 입천장에 더 가깝게 좁혀 발음한다.
*활음 (滑音) 「명」『어』 조음 기관이 한 음의 위치에서 다른 음의 위치로 옮겨 갈 때에, 그 자체의 소리가 분명히 드러나지 아니하고 인접한 소리에 곁들어 나타나는 소리. ≒과도음˙글라이드.
y = j 경구개 (고전설 이동음)
영어: yes, beyond,
국어: ㅑ, ㅕ, ㅛ, ㅠ (ya, y , yo, yu)
말= 영어의 저 두 낱말 y-, -y-는 주음이라는 것 같은데(부수음이 아니라)
국어 ㅑ /ya(ja)/의 y-는 빠르게, 짧게 이동하며 소리나고
인접음 a쪽에 곁드려 나는 소리.
영어와 반대가 아닙니까?
이럴 때 y의 음색이 엄밀히 영어와 국어에서 서로 다르지 않을까.
w 연구개 (고후설 이동음)
모음 u보다 입천장에 더 가깝게 좁혀 발음한다.
영어: away
국어: ㅘ, ㅝ, ㅟ(wa, w ,wi)
말= 이때도 영어에서는 away의 w가 주음이고 뒤는 부음이 되는데
우리말은 거꾸로 뒤 -[2005/10/26-21:08]-
언어: 우리말은 거꾸로 뒤의 모음 ㅏ,ㅓ 따위가 음절? 핵이고 앞에 w는 빠르게 짧게 옮기며 소리나고 뒤에 비교적 안정적이고
정태적인 모음에 곁드려 나는 것 같다는 것이다. 그러니 미국말과 반대.
국어와 영어에서 /w/로 표기되는 저것의 음질이 같은걸까.
-[2005/10/26-21:09]-
뿌리깊은나무: 마인드 워시님 말씀대로 본인은 음성학이니 음운론이니 하는 학문을 논하자는 것이아니고 잘 알지도 못합니다. 다만 본인이 주장하고 있는 것은 말소리를 논하지는 것이 아니고 한글이라는 글자에 대해서 논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글로 세상만물의 소리를 모두 적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한글을 어떤 틀에 가두어 놓지말고 완전히 개방해서 쓰도록하자는 것입니다. 그 글자의 소리에 대해서는 또다시 음성학자들이나 음운학자들의 도움을 받아서 결정하면 되는 문제니까요. 예를 들어 [v]늬 소리를
한글의 [ㅍㅎ]라는 합용병서를 쓰든가 아니면 [ㆅ] 같은 각자병서 아니면 [ㆄ]과 같은 연서법으로 써서 구분을 짓자는 말입니다. 어째서 이런 좋은 방법을 택하지 않고
[ㅍ]으로 [p]의소리도 되고 [f]의 소리도 되도록 하느냐하는 것입니다. 이런 행위는 한글은 글자 하나에 소릿값이 단 하나뿐인 글자를 망치고 있는 것입니다. -[2005/10/26-21:50]-
언어: 저 위에 제가 영어에서 주음이나 부음 썼는데 지금 다시 읽어보니 제가 쓴 게
틀린 것 같기도 하고 불확실, 잘 모릅니다.
음성.음운론 그거나 찾아 읽고 배워야겠습니다.
그리고 뿌리깊은나무님! 저랑 음성.음운론 공부합시다.
끝으로 글을 쓸 때는 이치와 바램만으로 쓰고
나와 다른 생각, 맞지 않다고 느끼는 것에 대한 대응은
역시 또 이치와 바램만으로 쓰는 겁니다. 네 말이 거짓이다, 옳지 않다, 안좋다..
이렇게 쓰지 말고 거짓인 사실을 자기 이치, 바램으로 드러내 보이는 겁니다.
시비, 선악도 마찬가지. 평가어가 앞서면 안된다.
그런 것 없이도 다 드러내 나타내 보일 수 있답니다.
우리 여기부터 배워 나갑시다. 음성.음운론을 모르고서 언어를 얘기할 수 없는 일.
http://www.chosun.ac.kr/~ongmi/teaching/phonology/intro.htm
-[2005/10/27-10:08]-
언어: http://www.chosun.ac.kr/~ongmi/teaching/phonology/intro.htm -[2005/10/27-10:10]-
뿌리깊은나무: 언어님, 호의는 감사합니다. 본인은 한글이라는 글자에 대해서 연구하는 사람이지 언어학이나 음성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한글이라는 글자를 올바르게 쓰고 읽자는 주장을 펴는 것이 목적이지 말의 소리에 대한 주장을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글자의 쓰임새 소리글자를 만드는 방법 등을 연구하여 보급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말의 음운이나 음성에 대해서는 음성학자나 음운학자들의 몫이지 저의 짧은 식견으로는 방대한 한글학도 벅찬 상태이므로 음운이나 음성에 대해서는 공부할 시간이 없는 것 같습니다. 본인은 언어학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인 한글학을 논하고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2005/10/27-10:24]-
마인드워시: 뿌리깊은나무님의 연구영역은 문자학을 넘어서 음성학,음운론까지 치다르고 있습니다. 문자학은 음운론과 떨어질 수 없습니다. -[2005/10/27-11:55]-
마인드워시: 언어님께
영어에서 yes와 away의 음성기호로는 [ijes]와 [αuwai]입니다.
그러나 한국에서 '야'와 '위'의 음성기호로는 [ja]와 [wi]입니다.
양자의 차이점은 영어는 j앞에 i발음이 오고 w앞에 u발음이 온다는 것입니다. -[2005/10/27-11:58]-
마인드워시: 그러나 영어의 반모음 앞에 오는 i와 u발음은 공명음(모음)보다는 접근음입니다. -[2005/10/27-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