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말글 사랑방         오순도순 한마당

무성ㅇ 로마자표기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79
무성 ㅇ 로마자표기


무성 ㅇ 도 로마자로 표기해 주어야 한다.

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우리는 무성 ㅇ은 생략하고 표기한다. 왜냐하면 무성 ㅇ이 로마자에는 없기 때문이다. 또 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발음 위주로 표기하기 때문에 ㅇ 을 따로 표기할 이유도 없다. 그러나 ㅇ도 글자이기 때문에 반드시 로마자로 표기해 주어야 하는 절대적인 이유가 있다. ㅇ 을 표기 안하면 표기한 로마자가 무너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써놓고는 읽거나 이해하는데 한참 더듬어야 한다. 설사 표기법에 맞추어 잘 표기했다고 가정하더라도 다시 한글로 정확히 되쓰려면 그게 안된다. 왜? 정답이 나올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ㅇ 을 표기하지 않았고, 또 발음 나는대로 맞추어 표기함으로써 표기 된 로마자 문장이 이미 무너져 버렸기 때문이다. 그러면 국어의 로마자 표기를 완벽하게 하고 또 너도나도 아무나 100% 정확하게 되쓸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없을까? 그 해답은 우리의 한글에 있다.

첫째 무성 ㅇ 을 로마자로 표기해 준다.

* 무성 이응 ㅇ 은 부호 < ' > 로 또는 로마자 < o > 로 표시하_ (어두에서는 생략 가능하_)
소리 없는 ㅇ 도 자음으로 간주하고 반드시 로마자로 표기해 주되, 로마자에는 마땅한 글자가 없으므로 < o > 나 부호 < ' > 로 써준다. 굳이 -컴퓨터 파일링, 타이틀 등에서- 영자로 표기해야 할 시에는 o 로 대용하거나, 또는 그냥 생략한다. o 는 혼동을 주므로 꼭 필요할 때에만 사용하지만, 똑부호< ' >는 다르다. 로마자 o 대신 ' 부호를 사용하면, 소리는 없으면서도 똑부러지게 무성ㅇ자리라는 표를 해주면서 또 간단하기 때문에 아주 제격이다. 현 표기법에서 ㅇ 을 거의 무시하고 로마자로 표기하므로 큰 혼선을 이루고 있는데, 무성 ' 로 표기하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 단 어두에서는 혼동을 안 주므로 생략해도 무방하다.

우리가 <아이> 를 쓸 때 ㅇ을 빼고 쓰면 ㅏ ㅣ 즉 ㅐ 가 되듯, <아이> 를 < A I > 라고 로마자로 쓰면 < AI > 가 될수밖에 없다. 그래도 우리는 <아이> 를 < AI >로 써놓고 <아이> 로 읽을지 <애> 로 읽을지 고민한다. 왜? 둘 다 옳으니까. 거꾸로 말하면 둘 다 틀릴 수 있으니까. <잔이> 넘친다고를 라고 표기 한다면 <자니> <잔이> 둘 다 나온다. 더구나 발음 위주로 표기하는 현재의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혼동이 더하다. <젊은이> 는 <절므니> 로 발음이 되므로 로 적는게 옳다면, 이걸 다시 국어로 표기하려면 숨어있는 무성 ㅇ두개를 찾아내야만 한다.

예: 보통 사용시
서울 = Seo'ul = Seoul 안양 = 'An'iang = An'iang 해운대 = Hai'undai 아이들 = 'a'ideul = a'ideul = a'id-l 젊은이 = jeolm'eun'i = jeol'-n'i 영어 = 'ieong'eo = ieong'eo

예: 컴퓨터 '파일 이름 (컴퓨터 '파일 이름에는 부호 ' 를 쓸 수 없으므로 o 로 사용 또는 ' 없이 그냥 사용하_)서울 = seoul 안양 = anoiang = aniang 해운대 = haioundai=haiundai 아이들 = aoideul = aideul 젊은이 = jeolmoeunoi = jeolmeuni 영어 = ieongoeo = ieongeo


* 둘째 한글 자모에 로마자를 1대1로 맞추어( 예:ㅏ, ㅗ, ㅜ = a, o, u ㄱ,ㄴ,ㄷ = g, n, d ) 표기한다.

한글은 국어를 발음나는대로 적을 수 있는 멋진 글이다. 그런데 발음나는대로 로마자로 표기하는게 왜 잘못인가? 그리고 현재의 로마자 표기법에도 ㅏ= a, ㄱ = g 라고 저해 놓고 표기하고 있는게 아닌가?
1) 발음 나는대로 로마자로 표기한다는 자체가 잘못은 아니다. 우리의 말은 바로 한글로 쓸 수 있어서 말이 바로 글이다. 이런 말과 글이 세상에 어디 또 있는가? 없다. 따라서 말 그대로를 한글로써서 로마자로 표기하면 완벽할 수 있는데,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즉 한라산은 한라산이라고 발음하고 HANRASAN 이라고 쓰면 되는데, 우리의 표기법은 지금 할라산으로 발음이 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며, 따라서 로마자로는 HANRASAN 은 틀린 표기이고, HALLASAN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표기 원칙을 잘못 정한 것이다. 그러면 외국인에게 HALLASAN 을 읽어 보라라고 시켜보자. 할라산이라고 읽는 영어계와 하야산이라고 읽는 라틴계로 즉시 갈릴 것이다. 로마자는 영어만 있는게 아니잖은가. 더구나 그 원명이 한라산 = HANRASAN 이라고는 상상도 못할 것이다. 즉 할라산이라고 발음되므로 HALLASAN이라고 로마자로 써야 옳다는 현 표기법은 전혀 설득력이 없음에도 표기법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동화작용 뿐 아니라, 구개음화, 거센소리, 된소리 등 그리고 그 조항의 예외사항들을 알아야하고 해서 복잡하기 이를 데 없어서 결과적으로는 현재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에 맞추어 제대로 표기할 수 있는 한국인은 드물다. 십중 팔구는 틀린다. 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2) 중국 글로 발음나는 대로 적을 수 있는가? 없다. 일본글로 발음나는대로 적을 수 있는가? 없다. 따라서 그들은 발음에 가장 가까운 글자를 골라 비슷하게 로마자를 표기한다. 우리도 그렇게 할 수가 있고, 사실은 우리도 그런 방식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즉 한글 자모를 이용해서 가장 간단하게 표기할 수 있는 과학적인 표기방법이 있는데도, 어려운 중국식 일본식으로 로마자를 표기하고 있는 것이다. 한글은 낱 모음하나 자음하나가 로마자로 표기가 되고도 남는다. 그 낱 자모가 글 즉 말을 만들면서 거의 완벽하게 로마자를 표기할 수 있다. 이런 한글을 놔두고 즉 ㅎ ㅏ ㄴ ㄹ ㅏ = H A N R A 를 놔두고 ㅎ ㅏ ㄴ ㄹ ㅏ = ㅎ ㅏ ㄹ ㄹ ㅏ 라고 '발음되므로' H A L L A 라고 쓰라는 '표기법' 인데, 우리는 웃을 수가 없다. 우리 일이기 때문에. 중국인 일본인이 한글을 안다면 오히려 의아해 할 것이다. 두말할 필요도 없이 한글1대 로마자1로 딱 정해놓고 고대로 표기 해 나가기만하면 되는 것이다. 전혀 예외도 없으며, 되써 봐도 100% 정확하게 되써진다. 본란은 무성 ㅇ이 제목이므로, 1대1 표기 내용은 John정원Park의 한글의 로마자 표기(참조)에서 자세한 내용을 보아 주시기 바란다.



한글 무성 자음 ㅇ 은 로마자 표기시에 반드시 표기해 주어야 하며, o 또는 ' 을 사용한다.


참조:
http://www.clixmas.com/h1ng9l/saehangeul/s10h1ng9l_roman.htm
John정원Park의 한글의 로마자 표기
http://www.clixmas.com/h1ng9l/saehangeul/han_rom/1_jp/han_rom1.htm
한글 로마자로 풀어쓰기와 한글로 100% 되쓰기


문의와 하교
johnjwpark@hotmail.com
John정원Park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