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교원 사진마당

4
[국외교원 사진마당]에 사진을 올리려면...
안녕하십니까?[국외교원 한마당]에 '글마당'과 '사진마당'을 <말머리>로 갈래지어 운영하고자 했는데글과 사진이 쌓이면 관리하고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까 염려되어 [사진마당] 게시판을 따로 만들었습니다.
[국외교원 사진마당]에 사진을 올리려면 먼저 한글학회 누리집회원으로 가입하고 들어가야(로그인해야) 합니다.로그인을 하였으면 <글쓰기> 버튼이 나타날 것입니다.
로그인을 했다면 이제 사진 올릴 준비가 된 것입니다.제목을 넣고 간단히 사진에 대한 설명을 붙이고 사진을 올립니다.사진을 올리려면...이 창의 위에 <이모티콘 / 특수문자 / 이미지 / 동영상 / …> 들의 선택 상자가 보일 겁니다.사진을 올리려면 <이미지>를 눌러야겠죠? <이미지>를 누르면 새로운 창이 뜹니다.그 창 왼쪽 맨 위에 <웹이미지>와 <내이미지>가 있는데 먼저 <내이미지>를 누르면 또 하나의 로그인 안내창이 뜹니다.여기에서 당황하지 마시고 오른쪽 위의 'X'를 누르면 로그인 창이 뜨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당황하지 마시고 <익명사용자로 로그인>에 체크하고 로그인하면 이미지를 올릴 수 있는 창이 뜹니다.여기에서 오른쪽 위쪽에 있는 <업로드>를 누르면 업로드 창이 또 뜨는데 여기에서 <찾아보기>를 눌러 올리고자 하는 사진들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있는 <업로드> 단추를 누르면 됩니다. 사진 용량이 클 경우 크기를 줄일 것인지 말지를 결정하라는데 세 가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나면 <작업대기열>이라는 글자 아래에 선택한 사진(들)이 뜰 겁니다. 바로 이 사진들을 선택하여 아래에 있는 조금 큰 창으로 끌어내리면 올리고자 하는 사진이 보일 겁니다.결정하셨다면, 맨 아래에 있는 <추가> 단추를 누르면 됩니다.조금 복잡하게 느낄 수 있지만 막상 해 보면 그리 어렵지도 복잡하지도 않을 겁니다.
그럼 여러분이 그 동안 한글학회 연수 시절에 찍었던 사진이나 간직하고 있는 사진이 있으면 망설이지 마시고 올려 주세요. 추억을 공유하면 그 시절로 돌아간 듯한 느낌으로 더 젊어질 것입니다.그럼 지난날의 추억을 떠올릴 소중한 사진들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고맙습니다.2021. 1. 15.김 한빛나리 올림
젊은오빠 2021.01.15
[국외교원 사진마당]에 사진을 올리려면 먼저 한글학회 누리집회원으로 가입하고 들어가야(로그인해야) 합니다.로그인을 하였으면 <글쓰기> 버튼이 나타날 것입니다.
로그인을 했다면 이제 사진 올릴 준비가 된 것입니다.제목을 넣고 간단히 사진에 대한 설명을 붙이고 사진을 올립니다.사진을 올리려면...이 창의 위에 <이모티콘 / 특수문자 / 이미지 / 동영상 / …> 들의 선택 상자가 보일 겁니다.사진을 올리려면 <이미지>를 눌러야겠죠? <이미지>를 누르면 새로운 창이 뜹니다.그 창 왼쪽 맨 위에 <웹이미지>와 <내이미지>가 있는데 먼저 <내이미지>를 누르면 또 하나의 로그인 안내창이 뜹니다.여기에서 당황하지 마시고 오른쪽 위의 'X'를 누르면 로그인 창이 뜨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당황하지 마시고 <익명사용자로 로그인>에 체크하고 로그인하면 이미지를 올릴 수 있는 창이 뜹니다.여기에서 오른쪽 위쪽에 있는 <업로드>를 누르면 업로드 창이 또 뜨는데 여기에서 <찾아보기>를 눌러 올리고자 하는 사진들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있는 <업로드> 단추를 누르면 됩니다. 사진 용량이 클 경우 크기를 줄일 것인지 말지를 결정하라는데 세 가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나면 <작업대기열>이라는 글자 아래에 선택한 사진(들)이 뜰 겁니다. 바로 이 사진들을 선택하여 아래에 있는 조금 큰 창으로 끌어내리면 올리고자 하는 사진이 보일 겁니다.결정하셨다면, 맨 아래에 있는 <추가> 단추를 누르면 됩니다.조금 복잡하게 느낄 수 있지만 막상 해 보면 그리 어렵지도 복잡하지도 않을 겁니다.
그럼 여러분이 그 동안 한글학회 연수 시절에 찍었던 사진이나 간직하고 있는 사진이 있으면 망설이지 마시고 올려 주세요. 추억을 공유하면 그 시절로 돌아간 듯한 느낌으로 더 젊어질 것입니다.그럼 지난날의 추억을 떠올릴 소중한 사진들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고맙습니다.2021. 1. 15.김 한빛나리 올림
젊은오빠 2021.01.15

3
제3회 국외 한국어 교사 연수회(1999) 모습
1999년 제3회 연수회부터는 서울 우이동에 있는 동양화재중앙연수원을 빌려 진행했다.서울에 이런 연수원이 있어서 좋은 공기에 강의와 숙식, 그리고 아름다운 경치와 함께 최적의 연수장이었다.1기와 2기 선배들의 고생을 알 수 없을 것이다.
▲ "남북한 언어" 강의를 마치고 강사 조재수 선생님과 함께.
▲ 환영회의 한 모습.
▲ "훈민정음" 강의를 마치고 강사 김석득 선생님과 함께.
▲ 7월 18일(일) 여주 영릉 학습 답사에서 세종대왕릉 앞에서.
▲ 7월 18일(일) 여주 영릉 세종전 건너편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 "우리 말글을 보아 온/보는 두 가지 눈"이란 주제로 특별 강의를 하고 있는 한글학회 허웅 회장님의 모습.
▲ 동아리 활동에 빠져 있는 모습.
▲ 동아리 활동을 마치고 마지막 날에 동아리 발표의 모습. 발표하고 있는 분은 미국에서 오신 임철현(나성한인교회 한국학교) 선생님.
▲ 동아리 활동의 한 모습.
▲ 배드민턴을 즐기고 있는 선생님들.
▲ 잔디밭에 앉아 오손도손 이야기하고 있는 모습. 선생님들의 각 학교 현장 상황들을 듣고 있는 젊은오빠.
▲ 7월 11일(일) 한글학회 강당에서 조촐한 다과를 마련하여 참가자 확인과 환영의 자리를 갖고 이날 우이동으로 이동하였다.
젊은오빠 2021.01.15
▲ "남북한 언어" 강의를 마치고 강사 조재수 선생님과 함께.
▲ 환영회의 한 모습.
▲ "훈민정음" 강의를 마치고 강사 김석득 선생님과 함께.
▲ 7월 18일(일) 여주 영릉 학습 답사에서 세종대왕릉 앞에서.
▲ 7월 18일(일) 여주 영릉 세종전 건너편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 "우리 말글을 보아 온/보는 두 가지 눈"이란 주제로 특별 강의를 하고 있는 한글학회 허웅 회장님의 모습.
▲ 동아리 활동에 빠져 있는 모습.
▲ 동아리 활동을 마치고 마지막 날에 동아리 발표의 모습. 발표하고 있는 분은 미국에서 오신 임철현(나성한인교회 한국학교) 선생님.
▲ 동아리 활동의 한 모습.
▲ 배드민턴을 즐기고 있는 선생님들.
▲ 잔디밭에 앉아 오손도손 이야기하고 있는 모습. 선생님들의 각 학교 현장 상황들을 듣고 있는 젊은오빠.
▲ 7월 11일(일) 한글학회 강당에서 조촐한 다과를 마련하여 참가자 확인과 환영의 자리를 갖고 이날 우이동으로 이동하였다.
젊은오빠 2021.01.15

2
제2회 국외 한국어 교사 연수회(1998)를 담은 모습
1998년 제2회 연수회 역시 한글학회 강당에서 강의를 하고 숙소는 종로 와이엠씨에이호텔, 그리고 식당은 학회와 주변 식당에서 해결하였다.
제1회와 제2회 때는 종로 숙소에서 광화문 한글학회로 걸어서 인솔하기도 하고 토큰(그때는 지금처럼 카드로 간단히 찍고 탑승하지 않고 현금이나 버스표를 이용했다)을 나눠 주고 한두 정류장을 버스로 이동했다.
▲ "훈민정음" 강의를 마치고 강사 김석득 선생님과 함께.
▲ "한국문화" 강의를 마치고 강사 이만열 선생님과 함께.
▲ "리듬" 강의를 마치고 김선미 선생님과 함께.
▲ "맞춤법"(강사: 김계곤) 강의를 열심히 듣고 있는 수강생들의 모습.
▲ 7월 19일(일)에 여주 영릉으로 학습답사 가서 홀가분한 기분으로 세종대왕의 거룩한 뜻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 7월 19일(일) 학습답사 갔던 여주 신륵사에서.
▲ 2주간의 모든 강의를 마치고 7월 25일(토)에 가졌던 수료식의 한 모습.
젊은오빠 2021.01.15
제1회와 제2회 때는 종로 숙소에서 광화문 한글학회로 걸어서 인솔하기도 하고 토큰(그때는 지금처럼 카드로 간단히 찍고 탑승하지 않고 현금이나 버스표를 이용했다)을 나눠 주고 한두 정류장을 버스로 이동했다.
▲ "훈민정음" 강의를 마치고 강사 김석득 선생님과 함께.
▲ "한국문화" 강의를 마치고 강사 이만열 선생님과 함께.
▲ "리듬" 강의를 마치고 김선미 선생님과 함께.
▲ "맞춤법"(강사: 김계곤) 강의를 열심히 듣고 있는 수강생들의 모습.
▲ 7월 19일(일)에 여주 영릉으로 학습답사 가서 홀가분한 기분으로 세종대왕의 거룩한 뜻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 7월 19일(일) 학습답사 갔던 여주 신륵사에서.
▲ 2주간의 모든 강의를 마치고 7월 25일(토)에 가졌던 수료식의 한 모습.
젊은오빠 2021.01.15

1
제1회 국외 한국어 교사 연수회(1997) 모습들
제1회 국외 한국어 교사 연수회는 한글학회 강당에서 강의를 하였으며,숙박은 종로 와이엠씨에이호텔에서, 식사는 학회 주변 식당(점심)과 호텔 주변 식당(아침, 저녁)에서 하였다.
▲ "교수 방법" 강의를 마치고 강사 백종자 선생님과 함께.
▲ 1997년 7월 6일(일) 한글학회 강당에서 조촐한 다과를 마련하여 초청 교사들을 환영하는 자리(환영식).
▲ 연수 기간, 연수 내용에 푹 빠져 듣고 있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온 한국어 교원들.
▲ 한글학회 현관 주시경 스승님 흉상 앞에서 강사와 수강생들이 함께 모여 기념 촬영.
▲ "문법" 강의를 마치고 강사 남기심 선생님과 함께.
▲ 한글학회 허웅 회장님의 특강 모습.
▲ 2주간의 강의를 모두 마치고 1997년 7월 19일(토)에 오후 2시에 연 수료식의 한 모습.
한글학회 2021.01.15
▲ "교수 방법" 강의를 마치고 강사 백종자 선생님과 함께.
▲ 1997년 7월 6일(일) 한글학회 강당에서 조촐한 다과를 마련하여 초청 교사들을 환영하는 자리(환영식).
▲ 연수 기간, 연수 내용에 푹 빠져 듣고 있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온 한국어 교원들.
▲ 한글학회 현관 주시경 스승님 흉상 앞에서 강사와 수강생들이 함께 모여 기념 촬영.
▲ "문법" 강의를 마치고 강사 남기심 선생님과 함께.
▲ 한글학회 허웅 회장님의 특강 모습.
▲ 2주간의 강의를 모두 마치고 1997년 7월 19일(토)에 오후 2시에 연 수료식의 한 모습.
한글학회 2021.01.15
내용이 없습니다.